[추가 : 2022년 10월 12일]
10월 11일, HLB(에이치엘비)의 유상증자에 대한 1차 발행가액이 확정되었습니다. 1차 발행가액은 최초 예정발행가액 34,050원보다 3,350원 낮은 가격 30,700원으로 결정되었네요.
그리고, 권리락 전일 종가(10월12일)는 41,050원으로, 13일 권리락 기준가는 40,20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권리락 조정가 =
(기발행주식수 x 권리락 전일 종가)+(신규주식수 x 1차 발행가액) / (기발행주식수 +신규주식수)
(106,903,481 x 41,050) + (9,562,408 x 30,700) / (106,903,481 + 9,562,408)
= 40,200원
하여, 13일 권리락으로 인한 주가조정율은 약 -2.07%로 다운되어 시작하게 되겠습니다.
2022년 09월 19일
알디노입니다. HLB 1차 발행가액 결정일(9월 23일)이 다가옵니다. 1차 발행가액이 결정된 후의 일정을 보면 신주배정기준일이 9월 28일에 있고, 그 하루 전 9월 27일에 권리락이 발생합니다. 오늘은 이 권리락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식 초보 또는 유상증자를 처음 참여하시는 분 기준으로 자세히 설명해보겠습니다.
⏹️ HLB, 오늘 주가 현황
오늘도 HLB주가는 하락 마감했습니다. 유증가 결정을 위한 하락으로 생각되지만, 그래도, 5 거래일 연속 하락은 마음이 쓰라린 건 어쩔 수 없나 봅니다. 종가 41,600원으로 하락 마감, 그러나, 지수 하락(-2.35%) 보다는 -0.95%로 상당히 방어되었다고 보고 있습니다. 거래량도 확 줄었고, 기관 매수가 좀 들어왔다는 것에 만족해야겠습니다.
지금까지 1차 발행가액의 1개월 가중산술평균주가는 오늘까지 약 48,325원이네요. 이후 실 주가는 오늘과 비슷한 추세를 보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20일~22일까지 오늘과 비슷한 거래량과 거래대금으로 유지될 것으로 보고, 마지막 23일 기산일에 거래량 터지고, 주가를 급등하는 시나라오가 유력하지 않나 생각하며,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
▶HLB, 유증가 가중산술평균주가 정리 (차주 주가 예상)
권리락이란?
권리락
신주인수권에 대한 권리가 없어진다는 의미
다들 아시겠지만, 자본을 늘리는 것을 "증자"라고 합니다. 보통 주식회사는 주식 총수를 늘려서 자본금을 늘리게 되며, 그 반대의 개념으로 "감자"가 있습니다. 여기서, 돈을 받고 증자하는 것을 흔히 유상증자라고 하며, 실질적인 자산이 증가합니다. 이에 반해 무상증자는 주식은 늘어나지만, 실질적인 자산 증가는 없다는 것이 큰 차이입니다.
그런데, 유상증자든, 무상증자든, 신주로 인한 주식 총수의 증가로 인해 그 만큼의 주식 가치가 희석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러한 것을 권리락(權利落)이라고 하지만, 주식에 있어 정확한 표현은 기존 주주에게 부여되는 신주인수권에 대한 권리가 없어진다는 의미입니다. HLB 유상증자를 보면, 신주배정기준일이 9월 28일인데, 이 기준일 이후의 주주에게는 신주인수권을 배정받을 권리가 없다는 것으로 이를 권리락이라 합니다.
권리락일
권리락일은 신주배정기준일 하루전입니다. 즉, 신주배정기준일(9월 28일) 하루 전인 9월 27일이 됩니다.
신주인수권 권리 기간
HLB 유상증가를 보면, 9월 28일이 신주배정기준일입니다. 이때 주주배정이 확정되는데요. 주주명부에 올리려면, 신주배정기준일 전 2일에 반드시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즉, 9월 28일에서 D-2 거래일이므로, 9월 26일까지 보유해야 함에 주의 바랍니다.
권리락의 주가 조정 계산
권리락이 발행하면 그에 따른 주가 조정이 일어나는데, 주가 조정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변수를 알아야 합니다. 아래의 예시를 보세요.
- 기 발행 주식수 = 106,903,481주
- 신규 주식수 = 9,562,408주
- 권리락 전일 종가(9월 26일) = 46,000원(가정)
- 1차 발행가액(9월 23일) = 34,050원(가정)
상기 권리락 전일 종가와 1차 발행가액은 아직 확정된 것이 아니기에 가정한 금액입니다.
계산은 간단한데, [전체 시가 총액 / 총 주식수] 하면 됩니다. 아래 공식을 보시죠.
권리락 조정가 = (기발행주식수 x 권리락 전일 종가)+(신규주식수 x 1차 발행가액) / (기발행주식수 +신규주식수)
상기 공식에서 주의할 점은 기존 시가총액은 권리락 전일 종가를 적용하고, 신규 주식 총액을 구할 때는 1차 발행가액을 적용합니다.
이렇게 해서 계산해보면, (106,903,481 x 46,000) + (9,562,408 x 34,050) / (106,903,481 + 9,562,408) = 약 45,000 원이 됩니다.
여기에서, 권리락 조정가 45,000원 대비 권리락 전일 종가 46,000원에 대한 하락 비율을 계산하면 2.17% 차이가 발행하므로, 결국 권리락일에 -2.17% 조정된 주가로 반영됩니다.
그러므로, 권리락 전일 종가와 1차 발행가액이 아직 확정되지 않은 점을 감안하면, 대략 -2% ~ -3%에 정도 권리락으로 인한 가격 조정이 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권리락으로 인한 주가 하락으로 기존 주주에게는 주식 가격이 떨어져, 어제까지 수익이었다가 오늘 갑자기 손실로 전환될 수도 있어 적잖이 놀랄 수도 있겠네요. 그러나 전혀 당황할 필요는 없습니다. 왜냐? 그만큼 싼 가격에 배정비율만큼 신주권을 받으니, 현재 가격이 낮아졌을 뿐 전체 주식을 보면 실제 가치는 변하지 않고 그대로 인 점 유의 바라며, 이상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주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HLB 유상증자 1차 발행가액 및 주가 전망 (9월23일 예상) (0) | 2022.09.22 |
---|---|
HLB, 베리스모 KIR-CAR T 면역치료제 FDA에 IND 승인 발표 (0) | 2022.09.21 |
HLB, 유증가 가중산술평균주가 정리 (차주 주가 예상) (0) | 2022.09.17 |
HLB, 악성루머에 대한 단호한 입장 표명(feat. HLB 공지) (0) | 2022.09.15 |
댓글